오셀로를 읽고
셰익스피어의 오셀로를 읽으며 오셀로가 이아고의 간교한 계략에 넘어가 아내 데스데모나를 의심하고 추궁하는 장면에서 너무나 가슴이 아파 이 책을 읽는 것을 며칠 멈추기도 하였다. 너무나 순수하고 아름다룬 사랑이 이아고 같은 악인에 의해서 비극적인 결과로 맞게 되었다.
결국 오셀로는 데스데모나를 죽이고야 만다. 오셀로도 이아고의 간교한 계략에 넘어간 것이지만 아내를 죽이는 일까지는 너무나 비극적인 일이었다. 오셀로의 말처럼 너무나 사랑하였기 때문이지만.. 그리고 오셀로는 자신을 찌르고 이미 죽은 데스데모나에게 키스를 하며 죽고만다.
이아고는 이 소설이 처음 시작할 시점 승진에 실패하며 오셀로에 반감을 품은 사람이었을 뿐이였다. 일상적인 일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사람 이아고가 어떻게 악인이 되어가는 것도 관심을 두고 읽어볼 만 하다. 이아고는 이러한 불만을 품은 사람이었으며 오셀로가 불운을 맞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꾸민 일들이 하나 하나 진행되며 다른 사람을 조정할 수 있다는 권력의 맛을 본 것은 아닐까? 작은 계략들이 이아고 자신의 의도대로 진행되며 작은 불만은 점점 악이 되어가며 결말은 등장하는 대부분의 인물을 죽음으로 몰아가게 된다. 이아고 마음 속의 작은 불만의 씨앗이 더 커질 수 없는 악마가 된것이다. 셰익스피어는 권선징악을 목적으로 둔 것이 아닌지 이아고의 응징에 대해서는 간단히 넘기고 만다.
이 책을 읽기전 먼저 읽은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마테오 팔코네에서 아버지가 아들을 용서하지 않고 죽이고야 만 것이 상기된다. 오셀로와는 주제가 다른 소설이기는 하나 오셀로가 데스데모나가 마지막에 간절히 요청하였던 기도할 수 있는 시간을 달라는 요청을 들어주었다면 그리하여 단 하루만이라도 늦추어졌다면 모든 진상이 밝혀져 이러한 비극이 일어나지 않았을 것이다. 단 하루가 아니라 오셀로가 데스데모나를 용서하였다면 이 소설은 해피엔딩과 권선징악으로 끝났으리라 생각한다.
우리의 삶은 비극이 아니라 행복한 결말이어야 하지 않을까
오셀로 Othello
1.1 오셀로
윌리엄 셰익스피어의 희곡으로, 4대 비극에 속한다. 베네치아의 무어인 용병 출신 장군 오셀로가 악인 이아고에게 속아 넘어가 선량하고 정숙한 아내 데스데모나를 의심하고 질투하다가 결국 살해하게 된다는 이야기이다. 모티브는 이탈리아의 작가 신시오의 단편집 Gli Hecatommithi에 수록된 Disdemona and the Moor이다. Disdemona and the Moor에서는 무어인 장군이 (디스데모나를 제외한 등장인물들은 이름이 밝혀지지 않는다) 자신의 부하에게 속아 충실한 아내를 의심하며 침대에서 그녀의 목을 졸라 살해한다. 그 후, 에밀리아가 모든 일을 이아고가 벌였다는 것을 밝히고 이아고의 칼에 찔려 죽는다. 이제 모든 진실을 알게 된 오셀로는 자신의 사랑을 이 사건을 본국에 알리는 편지에 악의적으로 표현하지 말아달라고 하고 자신을 칼로 찔러 데스데모나에게 입맞춤을 하며 자살한다.
1.2. 오셀로 줄거리
오셀로는 무어인이기 때문에 작품 곳곳에서 인종차별을 당하며, 자기 자신도 백인들의 한가운데의 유일한 무어인이라는 것과 옛날의 노예 생활 때문에 깊은 컴플렉스로 괴로워한다.
이아고는 오셀로가 데스데모나를 사랑하는 동시에 자기 자신을 열등히 여긴다는 것을 알고, 그 열등감을 자극한다. 오셀로는 이 말에 넘어가 부하인 캐시오가 데스데모나를 유혹했다고 착각하여 두 사람을 살해하려고 든다.
이아고는 작중에서 처음부터 끝까지 악의만을 가지고 있는 인물인 동시에 관객들에게 자신의 악의와 음모를 까발리며 계획을 진행시킨다. 그 악행의 이유는 오셀로가 '자신을 승진시켜주지 않고, 캐시오를 대신 승진시켜줬다는 것'과 오셀로가 자신의 아내 에밀리아와 바람을 피웠다는 것이다.결국 이아고의 계획은 이아고의 아내 에밀리아가 오셀로에게 진실을 얘기해주어 들통나지만, 이미 오셀로는 데스데모나를 살해한 후였다. 오셀로는 그가 만든 비극 때문에 자살한다.
오셀로가 자살한 후 복수를 천명한 카시오는 이아고를 재판에 넘기고 고문을 하라고 지시하면서 극은 끝난다.
1.3. 명대사
오, 주인이시여, 질투를 조심하시옵소서.
질투는 사람의 마음을 농락하며 먹이로 삼는 녹색 눈을 한 괴물이니까요.
이아고, 3막 3장
질투를 뜻하는 영문 숙어 "Green-Eyed Monster"가 이 대사에서 유래하였다.
양귀비도, 맨드레이크도…
이 세상의 그 어떤 마법의 약을 들이킨다 해도,
어제까지의 달콤한 잠은…
두 번 다시 그대들의 것이 되지 못하리.
이아고, 3막 3장
길고 유려하게 표현했지만 요약하자면 판타 레이쯤 된다. 상기 번역은 신암행어사에서 인용된 구절을 그대로 가져왔다.
1.4. 이아고 및 기타
주인공인 오셀로도 연구대상이지만, '악의만 있는 인간의 전형'을 이룬 이아고도 주요 연구 대상으로 많은 설이 나왔다.
주세페 베르디가 오페라로 만들었다. 제목은 이탈리아식으로 발음해서 오텔로.
셰익스피어 팬으로 유명한 오손 웰즈도 영화화한 적이 있다. 웰즈가 만든 셰익스피어 각색물 중에서는 가장 높은 평가를 받는 편. 다른 한 편은 심야의 종소리이나 이건 셰익스피어 작품들을 묶어서 새로 창조한 편이라 미묘하게 다르다.
2 주인공 오셀로에 대하여
무어인 용병 출신이며 직위는 장군이다. 부와 명예를 모두 거머쥐었으며 아름답고 정숙한 아내인 데스데모나와 결혼한 인생의 승리자. 그러나 백인들 속에서 홀로 살아가는 무어인이라는 입장 때문에 인종차별을 받고 있었으며, 그 때문에 주변 환경에 열등감을 품는다.
본디 노력가이고 유능하다. 금욕적이고 절제할 줄 알며 남의 능력을 알아보는 눈까지도 갖추었으면서도, 열등감 때문에 감정을 조절하지 못한다. 이아고가 둘의 사이를 떠보자, 처음엔 부정하려 하다가도 간단한 증거가 나오고 나서는 쉽게 흔들린다. 캐시오의 깨끗한 성품과 유능함을 가장 먼저 알아본 사람이 자신이었는데도, 자신이 백인이 아니라서 데스데모나가 자신을 배반하고 캐시오를 선택했던 것이라고 지레짐작한다. 누가 봐도 뻔히 입에 발린 말을 하는 이아고의 말을 쉽게 믿은 것은 이 때문.
그는 자신의 성공을 높이 평가하면서도 타인의 순결과 미덕에 대해서는 쉽게 의심한다. 성공을 위해 키워온 금욕과 절제로 그러한 본성을 억누르지만, 결국 이아고의 간교한 꼬임에 넘어가 컴플렉스를 폭발시킨다. 더 안타깝고도 비극적인 일은 캐시오에게 증오를 품은 시점까지는 이아고의 의도와 맞아떨어졌지만 데스데모나에게까지 분노를 터뜨린 것은 이아고가 바란 게 아니었다는 것. 보름달이 뜬 날 밤, 격노에 사로잡혀 데스데모나를 목졸라 죽인다. 그 후 에밀리아가 데스데모나의 죽음을 통탄해하며 오셀로를 힐책한다. 그리고 이 모든 죽음의 원인은 오셀로의 의심에 기반하며 허황된 말에 쉽게 추단한 그의 잘못이라고 한다. 이에 오셀로는 이아고가 해줬던 말들을 에밀리아에게 해주고 에밀리아는 자신의 남편이 했던 일들을 들으며 분기탱천한다. 그리고 에밀리아는 이 모든 것이 이아고가 꾸민 일이라고 실토하고 자신은 선의였음을 밝힌다. 현장에 있던 이아고가 길길이 날뛰지만 에밀리아는 거침없이 사건의 전말을 밝히고 이아고는 에밀리아를 칼로 찔러버린다.
이후, 오셀로는 캐시오를 비롯해 베니스에서 파견된 사자들과 대면하며 자신의 과오를 힐난하다가 스스로 목에 칼을 꽂고 데스데모나의 시체 옆으로 쓰러진다.
이아고는 캐시오가 오셀로의 뒤를 이어 키프로스의 총독이 된 후, 생지옥을 경험하게 될 것이라는 말을 들으며 압송된다.
오셀로에 와서 이러한 인물은 비로소 꽃핀다. "인종"이란 개념조차 희박했던 당시에 셰익스피어는 이 미래적인 개념을 작품에 도입했고, 오셀로의 갈등은 오늘날을 살아가는 우리들 모두를 이해시키고 있다.
연극이나 오페라에서 공연할 때는 오셀로가 무어인이기 때문에, 흑인이 아닌 배우는 오셀로를 연기할 때는 얼굴에 검은칠을 해서 흑인으로 분장하기도 한다. 하지만 현대에는 이것이 오히려 인종 차별을 조장할 수 있다며 흑인 분장을 하지 않기도 한다. 반대로 유색인종 배우들을 위한 기회가 많지 않았던 과거에는 오셀로 전문 배우로 연기력을 인정받는 배우들도 있었다. 1826년 미국 출신의 흑인 배우 아이라 알드리지가 기록상 최초로 흑인으로서 오셀로 역을 맡았고, 명가수 폴 로브슨, 대배우 제임스 얼 존스 등의 흑인 연기자들이 20세기에 오셀로 연기로 명성을 떨쳤다. 최근에는 위와 같은 이유 때문에 흑인이나 아랍계 배우들이 오셀로에 캐스팅되는 경우가 많아졌다.
현대에는 의처증을 상징하는 인물로서, 의처증을 오셀로 증후군이라고도 부른다.
'책과 인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토지 - 박경리 (0) | 2023.04.16 |
---|---|
보바리 부인 - Madame Bovary (0) | 2023.02.02 |
톨스토이의 세가지 질문 (0) | 2022.12.02 |
고골의 외투 - 작은 인간에 대하여 (0) | 2022.11.28 |
프로스페르 메리메의 마테오 팔코네 - 용서에 관하여 (0) | 2022.11.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