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과 인생

앙드레 지드의 좁은문을 읽고

반응형

앙드레 지드의 좁은문을 읽고

 

남녀의 애뜻한 사랑과 아픔이란 것을 잊고 산지 이제 오래지만 좁은문을 읽으니 남녀의 감정, 사람의 감정을 느끼고 젊은 시절의 설렘과 고통 과 기쁨 의 감정이 다시 살아나는 듯 하였다.

그렇게 사랑하지만 종교적 신념때문에 그 사랑을 밀어내는 알리사의 신념이 솔직히 이해가 안되지만 작가는 읽는 독자마다 다르게 해석될 수 있는 여지를 둔 것 같다. 서로 사랑하지만, 맺어질 수 없는 사랑에 고통받는 제롬의 심정이 얼마나 절망적이었을까

앙드레 지드의 좁은문 줄거리

작가의 자전적 요소가 짙은 작품으로 여주인공 알리사는 작가의 외사촌누나이며 뒤에는 아내가 된 마들렌의 영상(影像)을 많이 찾아볼 수 있다. 알리사는 사촌동생 제롬과의 지상에서의 사랑을 단념하고 ‘힘을 다하여 좁은 문으로 들어가는’ 천국에서의 영혼합일을 꿈꾼다. 그녀가 이러한 생각을 품게 된 것은 모친의 불륜을 보아버린 절망감 때문이었으나 그녀의 동생 줄리에트가 제롬을 사모하고 있음을 알게 된 데서 오는 자기 희생 때문이기도 했다.

그러나 이 고행(苦行)은 알리사에게 힘에 겨운 일이었다. 그녀는 이윽고 ‘덕(德)’과 천국과 신에 대한 신앙까지 잃고 요양원에서 패배의 짧은 일생을 마치지 않으면 안 되었다.

제롬은 어릴 때부터 2년 연상의 사촌누나 알리사에게 마음을 빼앗기고 있다. 두 사람을 연결하고 있는 감정에는 신비적인 것이 섞여 있다. 이윽고 알리사는 그녀의 동생 줄리에트가 마찬가지로 제롬을 사랑하고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줄리에트는 언니의 행복을 위하여 자신의 사랑을 단념하고, 연상의 구혼자와 결혼하고 만다.

알리사는 단지 침묵을 지킬 뿐으로 제롬을 피하게 된다. 알리사는 사촌 남동생 제롬과의 지상에서의 사랑을 단념하고, 힘을 다하여 좁은 문으로 들어가는 천국에서의 영혼 합일을 꿈꾼다. 이러한 알리사의 태도에 제롬은 절망하게 된다.

3년 동안 떨어져 있던 그녀는 완전히 변해 있었다. 그는 그녀에게 애정을 되살리도록 말하지만 “안녕, 지금이 시작이에요…무엇보다도 좋은 일은”이라고 말하며 제롬을 문 밖으로 나가게 한다. 그로부터 1개월 후에 알리사는 죽는다.

그녀의 일기가 남겨져, 그 속에서 그녀의 고통스러운 비밀이 알려진다. 알리사는 제롬을 사랑하고 있었으나, 또 한편으로는 완전한 그리스도교도가 되려는 것으로서, 그러한 완전이란 사랑을 물리침으로써 비로소 얻어지는 것이라는 확신을 가지고 있었다. 결국, 알리사가 찾고 있었던 것은 그녀 자신의 행복보다도 제롬의 행복이었던 것이다. 이리하여, 제롬을 자기 자신에게 떼어놓음으로써 성서에서 말하는 어떤 두 사람이 함께 들어갈 수 없는 ‘좁은문’쪽으로 그 한 사람만이 들어가는 것을 보고 싶은 바람이었던 것이다.

일견 감미로운 이 연애소설에는 청교도적 신비주의에 대한 통열한 조롱이 숨겨져 있고 관능 및 환락의 추구가 좌절된 ‘배덕자’의 비극과 극단적인 대조를 이루는 하나의 비극이 묘사되어 있다. 

1909년 발표. 알리사는 사촌동생 제롬을 진심으로 사랑하면서도 지상적()인 사랑을 눌러버리고 혼자 쓸쓸하게 집을 나가서 아무도 모르게 죽는다. 알리사의 이 행위는 불륜의 모친에 대한 괴로운 추억과 제롬을 남몰래 사랑하는 동생에 대한 따뜻한 애정 등 몇 가지 원인을 생각할 수 있으나 진짜 원인은 그녀의 신비적인 금욕주의에 있다. 이 청교도적인 금욕주의는 지드의 청춘시대를 강하게 지배하였던 것이다. 따라서 알리사는 사촌누나 마들렌(후일의 지드 부인)을 모델로 한 것이지만, 작자 자신의 분신이기도 하다.

지드는 이 작품에서 비인간적인 자기 희생의 허무함을 신랄하게 비판하였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전체에 맥맥히 흐르는 아름다운 서정과 조그마한 뉘앙스도 놓치지 않은 정교한 심리묘사는 이 작품을 보기 드문 매혹적인 작품으로 만들었다. 소설의 제명은 신약성서 마태오의 복음서》(7:13~14)의 “좁은 문으로 들어가라 멸망에 이르는 문은 크고 또 그 길이 넓어서 그리로 가는 사람이 많지만, 생명에 이르는 문은 좁고 또 그 길이 험해서 그리로 찾아 드는 사람이 적다”에서 땄다고 한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읜 제롬은 방학 때마다 두 살 위인 알리사와 한 살 아래의 줄리엣, 이 두 외사촌이 있는 삼촌 집에 내려가 함께 살았다. 알리사는 정숙한 반면 줄리엣은 말괄량이였다. 알리사의 어머니는 바람기가 있는 여인으로서, 행복한 가정을 버리고 젊은 장교와 놀아났다. 그 뒤로 알리사의 신앙은 깊어졌고, 보다 청순한 것을 찾게 되었다. 제롬은 주일 예배 때 알리사와 더불어 들은 설교를 평생 잊을 수가 없다. ”좁은 문으로 들어가기를 힘쓰라. 멸망으로 인도하는 문은 크고 그 길이 넓어 들어가는 자가 많고, 생명으로 인도하는 문은 좁고 협착하여 찾는 이가 적음이니라.”

제롬은 모든 괴로움과 슬픔을 넘어 하나님의 길에 이르듯이 노력한다면 알리사와의 사랑에 결실을 가져오게 되리라 믿었다. 쾌활한 줄리엣은 알리사와는 정반대의 성격이었다. 몰래 제롬을 사랑하고 있지만, 반항적으로 다른 남자와 결혼하고 만다. 제롬은 알리사에게 사랑을 고백하지만, 알리사는 하나님 안에서 하나가 되자고 대답한다.

제롬은 군에 입대한다. 그리고 알리사에게 사랑의 편지를 보내고, 알리사도 여기에 대해 답장을 보낸다. 그러나 만나서 결혼을 종용하면, 알리사는 "우리는 행복을 위해서가 아니라 거룩함을 위해서 태어난 것입니다”고 대답하여 제롬을 실망시키는 것이었다. 편지 속의 알리사와 현실의 알리사가 다름에 제롬의 마음은 피곤해진다. 제롬은 알리사를 단념하고 3년의 세월을 보낸다. 오랜만에 둘이는 다시 만나게 되지만 알리사는 너무나 정결한 존재였다. 그녀는 스스로 지상의 사랑을 버리고 '좁은 문'을 거쳐 행복에 이르는 길을 걸으려 하고 있었다.

그날 밤, 알리사는 수정 목걸이를 걸지 않고 있었다. 제롬은 쓸쓸한 마음으로 알리사의 곁을 떠났다. 알리사는 "내가 수정 목걸이를 걸지 않고 만찬에 나오면 아무 말도 하지 말고 돌아가 주세요”라고 미리 선언했던 것이다. 그 뒤, 제롬은 알리사가 요양원에서 숨진 사실을 줄리엣의 편지를 통해 알게 된다. 알리사의 일기에는 "하나님이시여, 다시 한 번 그분을 만날 수 있도록 하여 주옵소서”라는 구절을 비롯해, 몹시도 제롬을 사랑했지만 '좁은 문'인 하나님에의 봉사 때문에 고민한 사실이 기록되어 있었다.

반응형